질문)
최근에 사람이 말할떄에 알아듣는 언어는 어떤 방식을 사용해서 처리하나요? 한국말일경우에, 문장으로 해석하는지, 단어자체로 해석하는지, 모음 자음으로 해석하는지, 어떤 모델을 이용해서 언어를 해석하나요?
 

ChatGPT)
사람이 말하는 언어를 컴퓨터(또는 AI)가 이해하는 과정은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과 **자연어 처리(NLP)**라는 두 가지 큰 기술 영역으로 나뉩니다. 아래에 한국어를 예로 들어, 각 단계별로 어떤 방식과 모델을 사용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1.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말소리를 문자(텍스트)로 바꾸는 과정입니다. 이 단계에서 중요한 기술은:

🎯 사용 방식:

  • 사람의 음성을 입력으로 받아, 이를 파형 → 음소 → 단어 → 문장으로 인식합니다.

🎧 어떤 방식으로 인식하나요?

처리 수준설명
음향 모델 (Acoustic Model) 음성 파형에서 **자음/모음(음소)**을 추출하는 역할. CNN이나 RNN 기반 모델이 주로 사용됨.
발음 사전 (Pronunciation Lexicon) 특정 단어가 어떤 음소로 구성되는지 설명하는 사전. 예: “학교” → [ㅎ][ㅏ][ㄱ][ㄱ][ㅛ]
언어 모델 (Language Model) 어떤 단어들이 자연스럽게 이어질지를 예측. 예: "나는 밥을" 다음에 "먹었다"가 나올 확률이 높음
디코더 (Decoder) 위 정보를 종합해서 최종적으로 "이 사람이 말한 문장은 이거다!"라고 선택함
 

🧠 사용하는 대표 모델:

  • 예전에는 HMM(Hidden Markov Model) + GMM(Gaussian Mixture Model)
  • 지금은 대부분 딥러닝 기반의 end-to-end 모델:
    • DeepSpeech (by Mozilla)
    • Wav2Vec 2.0 (by Facebook/Meta) → 최근 한국어 인식에서도 성능 우수
    • Whisper (by OpenAI) → 여러 언어 자동 인식 가능

2. 자연어 처리 (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텍스트로 바뀐 문장을 "의미"로 해석하는 단계입니다.

🧩 문장으로 해석하나요? 단어로 하나씩 해석하나요?

**문맥 단위(문장 또는 문단)**로 해석합니다. 예전에는 단어 단위(Bag-of-Words 등)로 처리했지만, 요즘은 문맥 전체를 반영하는 방식입니다.

💡 사용하는 모델:

모델 이름특징
BERT (by Google) 문장의 좌우 문맥을 모두 고려해서 이해
KoBERT, KoGPT, KR-BERT 등 한국어에 특화된 BERT 또는 GPT 모델
GPT (by OpenAI) 다음 단어를 예측하는 방식으로 문맥 전체를 이해
 

3. 한국어의 특수성

한국어는 교착어(조사가 붙는 언어)이고, 띄어쓰기나 어순 유연성이 커서 형태소 분석이 중요합니다.

주요 처리 방식:

  • 형태소 분석기: 한국어는 '단어'를 먼저 형태소로 쪼갠 뒤, 분석해야 합니다.
    • 예: "나는 밥을 먹었다" →
      나는/NP + 밥/NNG + 을/JKO + 먹/VV + 었/EP + 다/EF
    • 사용 도구: Mecab, Khaiii, Okt, Kiwi

✅ 정리하면:

단계설명사용 방식
1. 음성 → 텍스트 음성 인식 (Speech Recognition) Wav2Vec, Whisper 등 딥러닝 기반 모델
2. 텍스트 → 의미 자연어 처리 (NLP) BERT, GPT, KoBERT 등
3. 한국어 특화 처리 형태소 분석, 조사/어미 처리 Mecab, Okt, KoNLPy 등
 

🔎 추가로 알고 싶은 것?

  • 실제로 Whisper나 Wav2Vec로 한국어 음성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예제도 드릴 수 있습니다.
  • 또는 GPT가 "문맥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시각화해서 보여드릴 수도 있어요.

원하시는 방향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질문)
GPT가 "문맥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시각화해서 보야준다면?


ChatGPT)
GPT가 문맥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시각화해 보면, 단어 하나하나가 문장 전체의 흐름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어텐션(Attention) 메커니즘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GPT의 문맥 이해 핵심: "Self-Attention"

GPT는 문장을 처리할 때 단어 하나를 읽고, 그것이 앞에 나온 단어들과 얼마나 관련 있는지를 계산해서 이해합니다.

이 과정을 시각화한 것이 바로 "어텐션 맵 (attention map)"입니다.


🔍 예시 문장:

"철수는 영화를 보고 울었다."

이 문장에서 "울었다"라는 단어가 등장했을 때, GPT는 이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전 단어울었다와의 연관성 (어텐션 가중치, 예시)
철수는 0.3
영화를 0.2
보고 0.4
울었다 1.0 (자기 자신)
 

→ GPT는 "울었다"라는 단어를 이해할 때 "보고"와 "영화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철수"라는 주어도 고려합니다.
이처럼, 앞에 등장한 단어들에 '주의(attention)'를 주면서 문맥을 구성합니다.


🎨 어텐션 맵 시각화 (텍스트 버전)

plaintext
복사편집
Input Sentence: 철수는 영화를 보고 울었다 ↓ ↓ ↓ ↓ 울었다 ←───── 철수는 (0.3) 울었다 ←───── 영화를 (0.2) 울었다 ←───── 보고 (0.4)

이건 각 단어가 "울었다"에 얼만큼 영향을 주는지를 시각화한 것입니다.


🧰 실제 시각화 도구 소개

1. BERTViz (GPT와 구조는 다르지만 어텐션 시각화 가능)

2. OpenAI GPT Playground

3. ExBERT – 시각적인 어텐션 뷰어

  • https://exbert.net
  • 모델 구조 및 어텐션 레이어 간 영향력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음

🧪 GPT 문맥 이해의 실제 예

문장:

“나는 밥을 먹고 운동하러 갔다.”

GPT가 “갔다”를 예측할 때:

  • “운동하러”에 높은 주의를 줍니다.
  • “밥을 먹고”는 부가적인 상황 정보로 낮은 가중치.
  • “나는”은 주어로 고려됩니다.

이처럼 GPT는 문장의 구조적 흐름을 파악하면서 다음 단어를 예측합니다.


✨ 요약

요소설명
Self-Attention 각 단어가 다른 단어에 주는 영향력 계산
어텐션 맵 단어 간 관계를 수치로, 또는 시각적으로 표현
GPT 문맥 이해 방식 문장의 흐름 속에서 다음 단어를 예측하는 구조
 

GPT가 문장을 단순히 "단어 나열"이 아니라 "맥락과 흐름"으로 이해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원하신다면, 직접 문장을 넣어서 어텐션 맵을 생성해드릴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비가 오는데 우산을 안 챙겼다."
  • "지각했지만 시험은 잘 봤다."

이런 문장 중 하나를 지정해 주시면 시각적으로 분석해 드릴게요!

 
질문)
각 나라별로 언어는 다릅니다. 수많은 언어가 존재합니다. 음성인식은 각 나라별로 언어를 모두 처리할수 있다고 보는데, 가장 핵심적인 음싱인식 기술은 무엇인가요?
 

ChatGPT)

세상에는 수천 개의 언어가 존재하고, 그 각각은 발음, 문법, 억양, 어휘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기술에 있어서도 범용성과 언어 특화 기술이 함께 발전해 왔습니다.

그렇다면, "수많은 언어를 어떻게 하나의 기술로 다 처리할 수 있는가?",
그리고 **"가장 핵심적인 음성 인식 기술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가장 핵심적인 음성 인식 기술:

End-to-End 딥러닝 기반 음성 인식 모델 + Self-Supervised 학습

대표 기술:

  • Whisper (by OpenAI)
  • Wav2Vec 2.0 (by Meta/Facebook)
  • Conformer (Google)
  • RNN-T (Recurrent Neural Network Transducer)
    이런 기술들이 핵심입니다.

🔍 그 이유를 단계별로 설명하면:

🔹 1. 과거 방식 (전통적인 ASR 시스템)

구성 요소설명
음향 모델 (Acoustic Model) 음성 신호 → 음소로 변환
발음 사전 (Lexicon) 음소 → 단어
언어 모델 (Language Model) 문맥상 가능한 문장 예측
디코더 (Decoder) 최종 결과 조합
 
  • 이 방식은 언어마다 발음 사전, 음운 규칙 등을 따로 만들어야 했습니다.
  • 한 언어마다 모델을 따로 훈련해야 했고,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었습니다.

🔹 2. 현재 방식 (End-to-End 딥러닝 모델)

📌 하나의 모델이 음성 → 문자 → 문맥까지 모두 한 번에 처리

대표 모델:

  • Whisper
  • Wav2Vec 2.0
  • Conformer

이 모델들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특징설명
Multilingual 학습 다양한 언어를 한 모델에서 동시에 학습함
Self-supervised 학습 라벨(문장) 없이 대량의 음성 데이터를 이용해 음향 특징을 스스로 학습함
End-to-End 구조 따로 발음 사전이나 언어 모델이 없어도 작동 가능
강건함(Robustness) 잡음, 억양, 발음 차이에 강함
 

🌍 언어를 구별 없이 처리할 수 있는 이유?

Whisper나 Wav2Vec 2.0은:

  1. 수십 개 언어의 음성과 자막(텍스트)을 함께 학습
    • 예: 한국어,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 스페인어, 힌디어 등
  2. 언어 코드(language token)를 명시하거나 자동 감지
    • 예: <|ko|> 안녕하세요 → 한국어로 인식
    • Whisper는 자동으로 어떤 언어인지 판단하기도 함
  3. 음향 특징 자체는 언어에 상관없이 공통적인 패턴이 있음
    • 예: 사람의 목소리 파형은 언어와 무관하게 성문, 모음, 자음 등 유사한 구조

🔬 가장 주목할 기술: Whisper

항목설명
개발 OpenAI
지원 언어 90개 이상
방식 End-to-End Transformer
장점 잡음에 강하고, 자동 번역/언어 감지도 가능
학습 데이터 680,000 시간 이상의 다국어 음성-텍스트 쌍
 

🔧 요약

구분핵심 기술
음성 인식 구조 End-to-End 딥러닝 기반
핵심 모델 Whisper, Wav2Vec 2.0, Conformer
멀티언어 처리 방식 다국어 데이터로 사전 학습, 언어 감지 포함
중요한 트렌드 Self-Supervised Learning, Multilingual 모델, Robust Decoding
 

🎁 참고로…

Whisper 같은 모델을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일이 가능해집니다:

  • 유튜브 영상 자동 자막 생성 (다국어)
  • 콜센터 다국어 상담 음성 기록 자동 텍스트화
  • 스마트폰 음성 인식에서 언어 자동 전환

필요하시면 Whisper나 Wav2Vec 2.0을 이용한 한국어 실시간 인식 예제 코드(PyTorch or Python)도 제공해드릴 수 있습니다.

질문)
End-to-End 구조 따로 발음 사전이나 언어 모델이 없어도 작동 가능하다는 것에 의문점이 있습니다. 그럼 End-to-End 구조는 무엇과 비교해서 최종결과물을 얻어내나요?
 

ChatGPT)

"End-to-End 구조에서는 발음 사전(Lexicon)이나 언어 모델(LM) 없이도 어떻게 문장을 인식하고 예측할 수 있는가?, 그렇다면 기준이 되는 비교 대상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음성 인식 기술의 핵심을 찌릅니다.


✅ 핵심 개념 요약

End-to-End 음성 인식 모델은 별도의 구성요소(음향 모델, 발음 사전, 언어 모델) 없이 단 하나의 신경망 모델음성 파형 → 텍스트를 바로 예측합니다.
하지만 이 예측은 무작위가 아니라, 학습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결정됩니다.


🔍 비교 대상은 무엇인가요?

📌 훈련(Training) 시에는 "정답 텍스트"와 비교합니다.

훈련 시에 모델은 다음 과정을 따릅니다:

  1. 입력: 음성 파형 (예: "나는 밥을 먹었다"라는 사람이 말한 음성)
  2. 목표: 그에 해당하는 정확한 텍스트 ("나는 밥을 먹었다")
  3. 모델이 처음에는 엉뚱하게 예측 ("나는 바브 목엌다")
  4. **정답과의 차이(오차)**를 계산 → 이걸로 역전파(Backpropagation)
  5. 수천, 수만 시간의 데이터를 학습하면서 점점 더 정확해짐

📌 비교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목적방법
정답과 비교 CTC Loss (Connectionist Temporal Classification) 또는 Seq2Seq Loss
예측 성능 강화 Transformer 기반 Attention 메커니즘, Beam Search 디코딩 등 사용
 

즉, **훈련 데이터에 있는 정답 텍스트가 기준(reference)**이며, 모델은 음성을 들었을 때 **“가장 가능성 높은 텍스트 시퀀스”**를 출력하도록 학습됩니다.


📦 그러면 발음 사전이나 언어 모델이 왜 필요 없어졌나요?

과거 시스템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plaintext
복사편집
[음향모델] + [발음사전] + [언어모델] → 디코더 조합 → 최종 텍스트
  • 이건 사람이 만든 규칙이 많이 들어간 시스템이고,
  • 언어마다 별도로 튜닝해야 했고,
  • 멀티언어 확장이 어렵고,
  • 오타나 음소 에러에 민감했습니다.

하지만 End-to-End는 이걸 하나의 거대한 모델이 모두 학습해서 내장합니다:

plaintext
복사편집
[End-to-End 모델] 입력: 음성 → 출력: 텍스트
  • 발음 규칙, 문맥 확률, 언어 흐름 등을 통합적으로 학습함
  • 예: "나는 바브" 같은 건 훈련 데이터에서 본 적 없으니 출력하지 않음

⚙️ 예: Whisper는 어떻게 처리하나요?

Whisper의 경우:

  • 입력: 음성 (wav 파일, 파형)
  • 내부: Transformer 모델이 음성에서 특징 추출 → 텍스트 예측
  • 출력: "나는 밥을 먹었다"

이때 내부에 언어 모델, 발음 사전은 따로 없지만,
모델이 훈련된 텍스트 데이터(수십만 시간짜리 음성-텍스트 쌍)를 통해
이미 그 "문법적 흐름과 발음 특징"을 암묵적으로 학습한 상태입니다.


💬 정리하면

질문답변
End-to-End 구조에서 결과는 무엇과 비교되나요? 훈련 시점에는 정답 텍스트(라벨)과 비교하여 오차를 줄입니다.
발음 사전/언어 모델 없이 문맥은 어떻게 아나요? 대규모 음성+문장 데이터를 통해 통합적으로 문맥과 발음을 학습합니다.
기준은 뭔가요? 훈련 데이터 내의 "올바른 텍스트"가 기준(reference)입니다.
결과 예측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나요? Transformer 구조를 이용하여 입력 시퀀스로부터 가장 확률 높은 단어 시퀀스를 예측합니다.
 

🔧 더 알고 싶다면:

  • CTC Loss 방식과 Seq2Seq Attention 기반 디코더 차이
  • Whisper 모델 내부 토큰 시퀀스 예시
  • 한국어 발음 변화(받침, 동화 등)를 모델이 어떻게 일반화하는지

이 중 하나라도 관심 있으시면 더 깊게 설명드릴 수 있어요.

 
나의 말:
가장 가능성 높은 텍스트 시퀀스와 비교한다고 했을떄에, 이것을 스마트폰에 탑재해서 사용한다면, 어느정도의 용량을 차지할까요?
 
ChatGPT의 말:

스마트폰에 End-to-End 음성 인식 모델(예: Whisper, Wav2Vec 2.0 등)을 탑재해서 오프라인 음성 인식을 수행할 경우, **모델 크기(용량)**는 사용하는 모델의 종류와 성능 수준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대표 모델별 용량 비교 (스마트폰 기준)

모델 이름크기 (용량)설명
Whisper Tiny 약 39 MB 저사양 디바이스용, 인식 속도 빠름, 정확도 낮음
Whisper Base 약 74 MB 일반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 가능
Whisper Small 약 244 MB 성능-용량 균형 좋음, 스마트폰 탑재 가능
Whisper Medium 약 769 MB 태블릿이나 고성능 스마트폰에 가능
Whisper Large-v2 약 1.5 GB 최고 정확도, 모바일엔 과함 (서버용)
 

출처: OpenAI Whisper GitHub


📱 스마트폰 탑재 시 고려사항

항목설명
RAM 사용량 실시간 음성 인식에는 보통 512MB ~ 1GB 정도 메모리 소모
CPU/GPU 자원 ARM 기반 칩셋에서도 경량화 모델은 충분히 가능 (특히 Tiny/Base 모델)
오프라인 가능 여부 가능 (모델 파일과 디코더만 탑재하면 됨)
지연 시간 Tiny 기준 약 300~500ms 수준 (문장 단위 처리 시)
정확도 Whisper Tiny/Base는 일상 대화에는 무난, 다소 오인식 존재
 

🧠 경량화 기술을 적용하면?

  1. Quantization (정밀도 축소)
    • float32 → int8로 변환 시 용량이 최대 4배 줄어듬
    • 예: 244MB → 약 60MB
  2. Pruning (가중치 제거)
    • 중요하지 않은 연결을 제거해서 모델 작게 만듦
  3. On-Device ASR 엔진 사용
    • Google Android → SpeechRecognizer, NNAPI + TFLite
    • Apple iOS → SFSpeechRecognizer, CoreML 기반

🔧 예시: 실제 스마트폰 음성 인식 앱에 Whisper 탑재

  • 앱 크기 증가량: Tiny 모델 기준 약 40~50MB
  • 추가 구성요소: 디코딩 코드 + 오디오 처리 코드 포함 시 전체 앱 용량 약 60~100MB 수준
  • 모바일 프레임워크:
    • iOS: CoreML로 변환하여 사용
    • Android: TorchScript나 TensorFlow Lite로 변환하여 실행 가능

✅ 결론

조건추천 모델용량
실시간 명령어 인식 (작은 앱) Whisper Tiny 39MB
문자 입력 대체, 일상 대화 인식 Whisper Small 244MB
고정확도, 서버 연동 전제 Whisper Large 1.5GB 이상
 

스마트폰에 실제로 탑재하려면 보통 Tiny 또는 Base 모델이 현실적입니다.
더 고성능을 원한다면 서버 연동(클라우드 기반 음성 인식)을 권장합니다.

 

호가 대비 실거래가 비율

        string sql = $@"
SELECT A.ComplexName, 
       A.AreaSquareMeters,  -- 전용면적(㎡)
       MAX(A.TransactionAmount) AS MaxTransactionAmount,  -- 실거래가 최대값
       MAX(CAST(B.MAXPRICE AS REAL)) AS MaxMarketPrice,  -- 최대 호가 값
       MAX(A.TransactionAmount) / MAX(CAST(B.MAXPRICE AS REAL)) * 100 AS RealToMarketRatio,  -- 실거래가 대비 호가 비율
       B.COMPLEXNAME, 
       B.LNBRMNNM, 
       B.LNBRSLNO
FROM REALESTATEAPTALL A
JOIN (
    SELECT COMPLEXNAME, LNBRMNNM, LNBRSLNO, MAX(MAXPRICE) AS MAXPRICE
    FROM ESTATENAVERALLINFOATTACH
    WHERE CORTARADDRESS LIKE '{cityCountryText}%' AND REALESTATETYPECODE <> 'OPST'
    GROUP BY COMPLEXNAME, LNBRMNNM, LNBRSLNO
) B
ON A.ComplexName = B.COMPLEXNAME 
AND A.MainNumber = B.LNBRMNNM 
AND A.SubNumber = B.LNBRSLNO
WHERE A.CityCounty LIKE '{cityCountryNM}%'
AND B.MAXPRICE IS NOT NULL AND B.MAXPRICE != ''  -- 빈 값 및 NULL 처리
GROUP BY A.ComplexName, A.AreaSquareMeters, B.COMPLEXNAME, B.LNBRMNNM, B.LNBRSLNO
ORDER BY RealToMarketRatio DESC, A.AreaSquareMeters DESC  -- 실거래가 최대값 기준으로 정렬

 

 

Program.cs
0.02MB

1. 가격 변동 및 트렌드 분석

1.1. 매매가 변동률 (연도별 평균 매매가 변화율)

 
SELECT strftime('%Y', ContractYearMonth) AS Year, AVG(TransactionAmount) AS AvgPrice FROM REALESTATEAPTALL GROUP BY Year ORDER BY Year;

1.2. 호가 대비 실거래가 비율

 
SELECT A.ComplexName, AVG(A.TransactionAmount) / AVG(CAST(B.MAXPRICE AS REAL)) * 100 AS RealToMarketRatio FROM REALESTATEAPTALL A JOIN ESTATENAVERALLINFOATTACH B ON A.CityCounty = B.CORTARADDRESS AND A.MainNumber = B.LNBRMNNM AND A.SubNumber = B.LNBRSLNO GROUP BY A.ComplexName;

1.3. 최대-최소 가격 범위 (단지별로)

 
SELECT A.ComplexName, MAX(A.TransactionAmount) - MIN(A.TransactionAmount) AS PriceRange FROM REALESTATEAPTALL A GROUP BY A.ComplexName;

🏢 2. 아파트별 상세 분석

2.1. 단지별 거래량

 
SELECT ComplexName, COUNT(*) AS TransactionCount FROM REALESTATEAPTALL GROUP BY ComplexName ORDER BY TransactionCount DESC;

2.2. 평형대별 평균가

 
SELECT ROUND(AreaSquareMeters / 3.3) AS Pyeong, AVG(TransactionAmount) AS AvgPrice FROM REALESTATEAPTALL GROUP BY Pyeong ORDER BY Pyeong;

2.3. 신축 vs 구축 가격 차이

 
SELECT CASE WHEN ConstructionYear >= 2015 THEN '신축' ELSE '구축' END AS BuildingAge, AVG(TransactionAmount) AS AvgPrice FROM REALESTATEAPTALL GROUP BY BuildingAge;

📈 3. 투자 가치 및 수익률 분석

3.1. 매매-전세 갭

 
SELECT A.ComplexName, AVG(A.TransactionAmount) - AVG(CAST(B.MAXLEASEPRICE AS REAL)) AS GapPrice FROM REALESTATEAPTALL A JOIN ESTATENAVERALLINFOATTACH B ON A.CityCounty = B.CORTARADDRESS AND A.MainNumber = B.LNBRMNNM AND A.SubNumber = B.LNBRSLNO GROUP BY A.ComplexName;

3.2. 전세가율

 
SELECT A.ComplexName, AVG(CAST(B.MAXLEASEPRICE AS REAL)) / AVG(CAST(B.MAXPRICE AS REAL)) * 100 AS LeaseRatio FROM ESTATENAVERALLINFOATTACH B JOIN REALESTATEAPTALL A ON A.CityCounty = B.CORTARADDRESS AND A.MainNumber = B.LNBRMNNM AND A.SubNumber = B.LNBRSLNO GROUP BY A.ComplexName;

📌 4. 지역별 비교 분석

4.1. 지역별 시세 격차

 
SELECT CityCounty, AVG(TransactionAmount) AS AvgPrice FROM REALESTATEAPTALL GROUP BY CityCounty ORDER BY AvgPrice DESC;

4.2. 인기 지역 분석 (거래량 많은 순)

 
SELECT CityCounty, COUNT(*) AS TransactionCount FROM REALESTATEAPTALL GROUP BY CityCounty ORDER BY TransactionCount DESC;

📊 5. 특이사항 및 추가 분석

5.1. 급매 vs 일반 매물 (평균 이하 가격 비율)

 
WITH AvgPrice AS ( SELECT ComplexName, AVG(TransactionAmount) AS AvgTransPrice FROM REALESTATEAPTALL GROUP BY ComplexName ) SELECT A.ComplexName, SUM(CASE WHEN A.TransactionAmount < B.AvgTransPrice THEN 1 ELSE 0 END) * 100.0 / COUNT(*) AS BelowAvgRatio FROM REALESTATEAPTALL A JOIN AvgPrice B ON A.ComplexName = B.ComplexName GROUP BY A.ComplexName;

5.2. 공시지가 대비 매매가
공시지가 테이블이 없다면 가정하고 작성한 쿼리입니다.

 
SELECT A.ComplexName, AVG(A.TransactionAmount) / AVG(B.OfficialPrice) * 100 AS PriceToOfficialRatio FROM REALESTATEAPTALL A JOIN OFFICIALPRICES B ON A.CityCounty = B.CityCounty AND A.MainNumber = B.MainNumber AND A.SubNumber = B.SubNumber GROUP BY A.ComplexName;

'기획 > 기획및 컨텐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가 대비 실거래가 비율  (0) 2025.03.06
부동산통계(특이사항 및 추가 분석)  (1) 2025.03.06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매매현황(2019~2024) 데이터와 네이버부동산의 아파트 리스트 및 호가 데이터를 주소와 지번을 기준으로 매칭해 사용할 수 있는 통계 항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가격 변동 및 트렌드 분석

  1. 매매가 변동률:
    • 연도별, 분기별 매매가 상승 또는 하락 비율.
  2. 호가 대비 실거래가 비율:
    • 실거래가 / 매매호가 평균 비율 분석.
  3. 최대-최소 가격 범위:
    • 동일 단지 내 연도별 최대-최소 매매가 및 호가 차이.
  4. 평균 매매가 및 호가 추이:
    • 연도별 평균 매매가, 매매호가, 전세호가 변화 추이.
  5. 시세 대비 실거래가 차이:
    • 특정 시점의 호가와 실거래가 비교.

🏢 2. 아파트별 상세 분석

  1. 단지별 거래량:
    • 연도별, 월별 매매 거래 횟수.
  2. 평형대별 평균가:
    • 전용면적별 평균 매매가, 매매호가, 전세호가.
  3. 신축 vs 구축 가격 차이:
    • 준공 연도 기준으로 구분한 매매가 차이.

📈 3. 투자 가치 및 수익률 분석

  1. 연평균 상승률:
    • 매매가의 연평균 상승률 및 호가 상승률.
  2. 매매-전세 갭:
    •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를 통해 갭 투자 가능성 분석.
  3. 전세가율:
    • (전세호가 / 매매호가) × 100% 비율.
  4. 투자 회수 기간:
    • 매매가 대비 연간 임대 수익을 통한 투자 회수 기간.

📌 4. 지역별 비교 분석

  1. 지역별 시세 격차:
    • 시군구 또는 행정동별 평균 매매가 및 호가 비교.
  2. 인기 지역 분석:
    • 거래량 및 호가가 높은 지역 순위.
  3. 주변 개발 호재 영향:
    • 특정 지역 개발 이슈 전후 매매가 비교.

📊 5. 특이사항 및 추가 분석

  1. 급매 vs 일반 매물:
    • 평균보다 낮은 호가로 나온 매물 비율 및 실거래가 비교.
  2. 거래 비수기 분석:
    • 거래량이 급감하는 시기 및 가격 변화 패턴.
  3. 공시지가 대비 매매가:
    • 공시지가 대비 매매가의 비율.

'기획 > 기획및 컨텐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가 대비 실거래가 비율  (0) 2025.03.06
가격 변동 및 트렌드 분석(SQLite.SQL)  (0) 2025.03.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