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에서 메소드 내의 지역 변수(local variable) 는 반드시 초기화를 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역 변수는 자동으로 초기화되지 않음

C#에서 지역 변수는 자동으로 초기화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초기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 예제 (초기화하지 않고 사용하면 오류 발생)

void TestMethod()
{
    int number; // 초기화하지 않음
    Console.WriteLine(number); // 오류!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 사용
}

🚨 오류 메시지

 
Use of unassigned local variable 'number'

💡 반면, 필드(Field)는 자동으로 초기화됨
클래스의 필드(Field)는 자동으로 기본값(default value)으로 초기화되므로 초기화를 하지 않아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class TestClass
{
    int number; // 필드는 자동으로 0으로 초기화됨

    void PrintNumber()
    {
        Console.WriteLine(number); // 정상 작동 (출력: 0)
    }
}

2. 메모리 안전성 보장

C#이 지역 변수를 초기화 없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는 이유는 메모리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입니다.
C, C++에서는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를 사용할 경우 메모리에 남아 있는 쓰레기 값(Garbage Value) 을 가져와 예상치 못한 동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C#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실행을 보장하기 위해 지역 변수를 명시적으로 초기화하도록 강제합니다.


3. 명확한 코드 유지

초기화를 강제함으로써 코드의 명확성과 가독성이 향상됩니다.
만약 초기화를 하지 않아도 사용 가능하다면, 프로그래머가 실수로 쓰레기 값을 참조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디버깅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4. 예외: out 키워드 사용 시 초기화 필요 없음

일반적인 지역 변수는 반드시 초기화해야 하지만, out 키워드를 사용하면 초기화 없이 메소드에 전달 가능합니다.

void SetValue(out int x)
{
    x = 10; // 반드시 값 할당해야 함
}

void Test()
{
    int number; // 초기화하지 않음
    SetValue(out number); // out 매개변수는 초기화 필요 없음
    Console.WriteLine(number); // 정상 출력 (10)
}

💡 out 키워드는 메소드 내부에서 반드시 값을 설정하도록 보장하므로, 지역 변수를 초기화할 필요가 없습니다.


결론

C#에서 메소드 내의 지역 변수를 초기화해야 하는 이유는?

  1. 자동 초기화되지 않기 때문 → 초기화 없이 사용하면 컴파일 오류 발생
  2. 메모리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 C, C++의 쓰레기 값 문제 방지
  3. 코드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4. 예외적으로 out 매개변수는 초기화 없이 사용 가능

✅ 해결 방법:
지역 변수를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초기화하여 오류를 방지하세요! 

REQUEST)
byte[] messageBytes = new byte[delimiterIndex];
Array.Copy(data, 0, messageBytes, 0, delimiterIndex);
byte[] transactionCodeBytes = messageBytes[0..5];
--------messageBytes[0..5]-------------------------------------------
위는 5바이트 인가요?

RESPONSE)

네, byte[] transactionCodeBytes = messageBytes[0..5];는 5바이트의 배열을 의미합니다.

C#에서 messageBytes[0..5] 구문은 messageBytes 배열의 0번 인덱스부터 5번 인덱스까지의 부분 배열을 생성합니다. 이는 0부터 4까지 인덱스를 포함하므로 총 5개의 바이트가 됩니다.

구체적으로:

  • messageBytes[0..5]는 messageBytes 배열의 0번 인덱스부터 4번 인덱스까지의 바이트를 포함한 배열입니다.
  • 배열 인덱스 범위는 [startIndex..endIndex) 형식이므로, 0..5는 0부터 4까지, 총 5개의 바이트를 포함합니다.

예시:

byte[] messageBytes = new byte[] { 0x01, 0x02, 0x03, 0x04, 0x05, 0x06, 0x07 };
byte[] transactionCodeBytes = messageBytes[0..5]; // [0, 1, 2, 3, 4] 바이트 포함


REQUEST)
messageBytes[0..4] 가 5바이트 아닌가요?

RESPONSE)

messageBytes[0..4]는 5바이트가 아니라 4바이트입니다.

C#에서 messageBytes[0..4] 구문은 0번 인덱스부터 3번 인덱스까지의 바이트를 포함하는 부분 배열을 생성합니다. 이는 인덱스가 0부터 시작하고, 4는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총 4개의 바이트를 반환합니다.

인덱스 범위 설명:

  • messageBytes[0..4]는 0, 1, 2, 3번 인덱스를 포함하는 부분 배열이므로, 총 4개의 바이트입니다.
  • [start..end) 범위에서 end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예시:

byte[] messageBytes = new byte[] { 0x01, 0x02, 0x03, 0x04, 0x05, 0x06, 0x07 };
byte[] transactionCodeBytes = messageBytes[0..4]; // [0, 1, 2, 3] 바이트 포함

이 경우, transactionCodeBytes는 [0x01, 0x02, 0x03, 0x04] 값이 포함된 4바이트 배열이 됩니다.

1. HashSet.Add() 중복 허용 여부

HashSet<T>의 Add 메서드는 중복된 값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 동작 원리: HashSet은 내부적으로 해시 테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며, 동일한 값(동일한 해시 값과 동등성을 가진 값)을 추가하려고 하면 false를 반환하고 값을 추가하지 않습니다.
  • 예제:
HashSet<string> aaa = new HashSet<string>();

bool added1 = aaa.Add("Hello"); // 반환값: true (값이 추가됨)
bool added2 = aaa.Add("Hello"); // 반환값: false (중복된 값, 추가되지 않음)

Console.WriteLine(added1); // true
Console.WriteLine(added2); // false

2. HashSet의 주요 용도

HashSet<T>는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1) 중복 제거

  • HashSet은 중복된 값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중복 요소를 제거하고 고유한 값을 유지해야 할 때 적합합니다.
  • 예제:
     
string[] items = { "apple", "banana", "apple", "orange", "banana" };
HashSet<string> uniqueItems = new HashSet<string>(items);

foreach (var item in uniqueItems)
{
    Console.WriteLine(item);
}
// 출력: apple, banana, orange

2) 빠른 검색

  • HashSet은 **O(1)**의 시간 복잡도로 항목을 검색합니다.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특정 값의 존재 여부를 빠르게 확인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 예제:
     
HashSet<int> numbers = new HashSet<int> { 1, 2, 3, 4, 5 };

if (numbers.Contains(3))
{
    Console.WriteLine("3이 존재합니다.");
}

3) 집합 연산

  • HashSet은 집합 연산(합집합, 교집합, 차집합)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 합집합: UnionWith
    • 교집합: IntersectWith
    • 차집합: ExceptWith
    • 대칭 차집합: SymmetricExceptWith
  • 예제:
     
HashSet<int> set1 = new HashSet<int> { 1, 2, 3 };
HashSet<int> set2 = new HashSet<int> { 2, 3, 4 };

set1.IntersectWith(set2); // 교집합: { 2, 3 }

foreach (var item in set1)
{
    Console.WriteLine(item); // 출력: 2, 3
}

4) 데이터 필터링

  • 중복된 데이터를 제거하거나 특정 조건에 맞는 고유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데 활용됩니다.

3. 장점

  • 빠른 성능: HashSet은 값의 추가, 삭제, 검색이 평균적으로 **O(1)**의 시간 복잡도를 가집니다.
  • 중복 방지: 값의 고유성을 보장합니다.
  • 집합 연산 지원: 데이터 처리 시 유용한 집합 연산을 제공합니다.

4. 단점

  • 순서가 없음: HashSet은 요소의 순서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순서가 중요한 경우 List 또는 SortedSet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 추가적인 메모리 사용: 내부적으로 해시 테이블을 유지하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습니다.

5. 결론

HashSet<T>는 중복 제거와 빠른 검색이 필요한 상황, 또는 집합 연산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려는 경우에 매우 유용합니다. 단, 순서가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를 처리할 때 적합합니다.

AppDomain.CurrentDomain.BaseDirectory로 얻은 디렉토리 경로에 /Data/CreateDB.sql 파일의 경로를 추가하려면, Path.Combine() 메서드를 사용하여 경로를 안전하게 결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currentDirectory에 /Data/CreateDB.sql 파일의 경로를 결합하고 이를 currentFilename 변수에 저장하는 코드 예시입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IO;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경로 (dotnet run 실행 폴더)
        string currentDirectory = AppDomain.CurrentDomain.BaseDirectory;

        //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 경로를 결합
        string currentFilename = Path.Combine(currentDirectory, "Data", "CreateDB.sql");

        // 결과 출력
        Console.WriteLine($"현재 파일 경로: {currentFilename}");
    }
}

설명:

  • AppDomain.CurrentDomain.BaseDirectory: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경로를 반환합니다.
  • Path.Combine(): 여러 경로 요소를 결합하여 올바른 경로 문자열을 생성합니다. 이 방법은 운영 체제에 맞는 경로 구분자를 자동으로 사용하므로 \ 또는 /를 직접 처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 "Data"는 BaseDirectory의 하위 디렉터리입니다.
    • "CreateDB.sql"은 그 디렉터리 내의 파일입니다.

결과:

  • 위 코드에서 currentFilename은 currentDirectory 경로와 Data/CreateDB.sql을 결합한 절대 경로를 가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currentDirectory가 C:\MyApp\인 경우, currentFilename은 C:\MyApp\Data\CreateDB.sql이 됩니다.

참고:

Path.Combine()은 각 부분을 안전하게 결합하여 운영 체제에 맞는 경로를 생성하므로, 경로 구분자를 직접 추가하거나 처리할 필요가 없어 더 안전하고 권장되는 방법입니다.

 
 
 
 
class Program
{
    public static void Main()
    {
        CHKNM nmm = new CHKNM();
nmm.RUN();
    }
}
class CHKNM
{
    public void RUN()
    {
        string currentDirectory = AppDomain.CurrentDomain.BaseDirectory;
            //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 경로를 결합
            string currentFilename = Path.Combine(currentDirectory, "Data", "CreateDB.sql");
    string currentEstFilename = Path.Combine(currentDirectory, "Data", "CreateEstateDB.sql");


    Console.WriteLine(currentDirectory);
    Console.WriteLine(currentFilename);
    Console.WriteLine(currentEstFilename);
    }
}

C:\Users\xterm\Downloads\dotnetconsole90>dotnet run
C:\Users\xterm\Downloads\dotnetconsole90\dotnetconsole90.csproj : warning NU1803: 'http://nuget.grapecity.com/nuget' 'HTTP' 원본을 사용하여 'restore' 작업을 실 행하고 있습니다. 비
 HTTPS 액세스는 이후 버전에서 제거됩니다. 'HTTPS' 원본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이 좋습니다.
C:\Users\xterm\Downloads\dotnetconsole90\dotnetconsole90.csproj : warning NU1803: 'http://nuget.grapecity.com/nuget' 'HTTP' 원본을 사용하여 'restore' 작업을 실 행하고 있습니다. 비
 HTTPS 액세스는 이후 버전에서 제거됩니다. 'HTTPS' 원본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이 좋습니다.
C:\Users\xterm\Downloads\dotnetconsole90\bin\Debug\net8.0\
C:\Users\xterm\Downloads\dotnetconsole90\bin\Debug\net8.0\Data\CreateDB.sql
C:\Users\xterm\Downloads\dotnetconsole90\bin\Debug\net8.0\Data\CreateEstateDB.sql

C:\Users\xterm\Downloads\dotnetconsole90>

Json 구조체.출력형태 코드(따로따로, 혹은 전체)

1. 나누어서 출력하는 형태
2. 전체를 출력하는 형태 - JsonConvert.SerializeObject(estate, Formatting.Indented)

public void DataToBuffer(byte[] data, int datalen)
{
    string dataText = Encoding.UTF8.GetString(data, 0, datalen);

    if ((dataText.IndexOf("ComplexNo") >= 0) && (dataText.IndexOf("CortarNo") >= 0))
    {
        estateAllInterfaceText estate = JsonConvert.DeserializeObject<estateAllInterfaceText>(dataText);

         PublicApiNM.SendToDebug8(3, "[" + estate.dataClass + "/" + estate.infoMarketClass + "/" + estate.transactionTime + "/" + estate.ComplexNo + "/" + estate.ComplexName + "/" + estate.CortarNo + "]");
         PublicApiNM.SendToDebug8(3, "[" + JsonConvert.SerializeObject(estate, Formatting.Indented) + "]");
    }
}


[2025-01-16 05:15:30]>[ES/555/20250110202308/120617/강정이매/5013011600]
[2025-01-16 05:15:30]>[{
  "dataClass": "ES",
  "infoMarketClass": "555",
  "transactionTime": "20250110202308",
  "ComplexNo": "120617",
  "ComplexName": "강정이매",
  "CortarNo": "5013011600",
  "RealEstateTypeCode": "OPST",
  "RealEstateTypeName": "오피스텔",
  "UseApproveYmd": "20180208",
  "CortarAddress": "제주도 서귀포시 강정동",
  "MinPriceByLetter": "2억 2,000",
  "MaxPriceByLetter": "2억 2,000",
  "MinLeasePriceByLetter": "NONE",
  "MaxLeasePriceByLetter": "NONE",
  "MinPrice": "22000",
  "MaxPrice": "22000",
  "MinLeasePrice": "0",
  "MaxLeasePrice": "0"
}]

코드에서 특정 외부프로세스를 종료시키려고 할떄에(이미 프로세스.아이디를 알고 있는경우에), 예를 들어서ㅡ, 자신의 프로그램에서 발생시킨 프로세스의 경우에, Process.GetProcessById().Kill() 을 이용하려면(?)


app.manifest 파일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권한이나 설정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려면 app.manifest 파일에 requestedExecutionLevel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Visual Studio에서 app.manifest 파일 생성 및 설정 방법

Step 1: app.manifest 파일 생성

  1. 솔루션 탐색기에서 프로젝트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추가" > **"새 항목"**을 선택합니다.
  2. **"애플리케이션 매니페스트 파일"**을 선택하고, 이름을 app.manifest로 지정한 후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이 작업으로 프로젝트에 app.manifest 파일이 생성됩니다.

Step 2: app.manifest 파일에 관리자 권한 설정 추가

app.manifest 파일을 열고, requestedExecutionLevel을 **requireAdministrator**로 설정하여 애플리케이션이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도록 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tandalone="yes"?>
<assembly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3" manifestVersion="1.0">
  <assemblyIdentity version="1.0.0.0" name="MyApp.app" />

  <!-- 요청된 실행 레벨 설정 -->
  <requestedExecutionLevel level="requireAdministrator" uiAccess="false" />

</assembly>
  • level="requireAdministrator":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려면 관리자 권한이 필요합니다.
  • uiAccess="false": 사용자 인터페이스 접근 권한을 설정합니다. 기본적으로 false로 설정되며, 특정 상황에서만 true로 설정합니다.

Step 3: 프로젝트 빌드 및 실행

  1. 프로젝트를 다시 빌드합니다. 이때 app.manifest 파일에 설정한 권한이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2.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Windows에서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 팝업이 나타나고, 사용자가 "예"를 선택해야 실행됩니다.

2. app.manifest 파일에 추가할 수 있는 다른 설정들

app.manifest 파일에는 권한 설정 외에도 여러 중요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최소 Windows 버전, DPI 설정, 그리고 다중 프로세서 사용 등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시: 최소 Windows 버전 설정

<compatibility xmlns="urn:schemas-microsoft-com:compatibility.v1">
    <!-- 최소 Windows 7 이상 -->
    <application xmlns="urn:schemas-microsoft-com:compatibility.v1">
        <supportedOS Id="win7" />
    </application>
</compatibility>

예시: DPI 호환성 설정

<application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3">
    <!-- DPI 자동 크기 조정 -->
    <windowsSettings>
        <dpiAware xmlns="http://schemas.microsoft.com/SMI/2005/WindowsSettings">true/pm</dpiAware>
    </windowsSettings>
</application>

3. 관리자 권한 없이 실행하려면

만약 관리자가 아닌 권한으로 실행하고 싶다면, requestedExecutionLevel을 **asInvoker**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호출한 프로세스와 동일한 권한을 사용하여 실행됩니다.

<requestedExecutionLevel level="asInvoker" uiAccess="false" />

이 설정은 기본값으로 관리자가 아닌 사용자 권한으로 실행됩니다.


결론

app.manifest 파일을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필요한 권한 및 설정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requestedExecutionLevel을 requireAdministrator로 설정하여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Process.GetProcessById().Kill() 등의 중요한 작업을 수행할 때 필요한 권한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Windows.DLL 버젼 알아내는 프로그램 작성

>dotnet new console -o versioncheck
>notepad Program.cs

using System;
using System.Reflection;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DLL 파일 경로 리스트
        string[] dllPaths = new string[]
        {
            @"C:\Users\xterm\Downloads\tmp\ArchitectureModel\ModelChangeToRedis\RedisServiceStackReal\RedisServiceStackReal\Bin\Release\Newtonsoft.Json.Net20.dll",
            @"C:\Users\xterm\Downloads\tmp\ArchitectureModel\ModelChangeToRedis\RedisServiceStackReal\RedisServiceStackReal\Bin\Release\ServiceStack.dll",
            @"C:\Users\xterm\Downloads\tmp\ArchitectureModel\ModelChangeToRedis\RedisServiceStackReal\RedisServiceStackReal\Bin\Release\ServiceStack.Interfaces.dll",
            @"C:\Users\xterm\Downloads\tmp\ArchitectureModel\ModelChangeToRedis\RedisServiceStackReal\RedisServiceStackReal\Bin\Release\ServiceStack.ServiceInterface.dll",
            @"C:\Users\xterm\Downloads\tmp\ArchitectureModel\ModelChangeToRedis\RedisServiceStackReal\RedisServiceStackReal\Bin\Release\Systehttp://m.Data.SQLite.dll"
        };

        // 각 DLL 파일의 버전 출력
        foreach (var dllPath in dllPaths)
        {
            try
            {
                // 어셈블리 로드
                var assembly = Assembly.LoadFrom(dllPath);
                var version = assembly.GetName().Version;
                Console.WriteLine($"{dllPath}: {version}");
            }
            catch (Exception ex)
            {
                Console.WriteLine($"Error loading {dllPath}: {ex.Message}");
            }
        }
    }
}

>dotnet build
>dotnet run

C:\Users\xterm\Downloads\aa12>dotnet run
C:\Users\xterm\Downloads\aa12\aa12.csproj : warning NU1803: 'http://nuget.grapecity.com/nuget' 'HTTP' 원본을 사용하여 'restore' 작업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비 HTTPS 액세스는 이후 버전에서 제거
됩니다. 'HTTPS' 원본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이 좋습니다.
C:\Users\xterm\Downloads\aa12\aa12.csproj : warning NU1803: 'http://nuget.grapecity.com/nuget' 'HTTP' 원본을 사용하여 'restore' 작업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비 HTTPS 액세스는 이후 버전에서 제거
됩니다. 'HTTPS' 원본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이 좋습니다.
C:\Users\xterm\Downloads\tmp\ArchitectureModel\ModelChangeToRedis\RedisServiceStackReal\RedisServiceStackReal\Bin\Release\Newtonsoft.Json.Net20.dll: 3.5.0.0
C:\Users\xterm\Downloads\tmp\ArchitectureModel\ModelChangeToRedis\RedisServiceStackReal\RedisServiceStackReal\Bin\Release\ServiceStack.dll: 1.0.0.0
C:\Users\xterm\Downloads\tmp\ArchitectureModel\ModelChangeToRedis\RedisServiceStackReal\RedisServiceStackReal\Bin\Release\ServiceStack.Interfaces.dll: 1.0.0.0
C:\Users\xterm\Downloads\tmp\ArchitectureModel\ModelChangeToRedis\RedisServiceStackReal\RedisServiceStackReal\Bin\Release\ServiceStack.ServiceInterface.dll: 1.0.0.0
  • **System.Windows.Forms.Timer**는 UI 스레드에서 실행되므로 UI와의 상호작용이 쉬운 반면, System.Timers.Timer는 그와 반대로 UI와의 상호작용을 할 때 조금 더 복잡합니다.


질문)
System.Windows.Forms.Timer ____timer = new System.Windows.Forms.Timer(); System.Timers.Timer ____timer = new System.Timers.Timer(); form 프로그램에서는 System.Timers.Timer ____timer = new System.Timers.Timer(); 는 동작하지 않는것 같은데 이유는?


답변)

System.Timers.Timer가 Windows Forms 애플리케이션에서 예상대로 동작하지 않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System.Timers.Timer가 백그라운드 스레드에서 실행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Tick 이벤트가 UI 스레드에서 실행되지 않으므로, UI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레드 동기화가 필요합니다. 반면, System.Windows.Forms.Timer는 UI 스레드에서 실행되므로 UI와 상호작용이 간편합니다.

문제의 원인:

  • **System.Timers.Timer**는 기본적으로 별도의 스레드에서 이벤트를 발생시킵니다. 이는 UI 스레드와 별개의 스레드에서 실행되므로, UI 요소를 직접적으로 업데이트하려면 스레드 동기화가 필요합니다.
  • **System.Windows.Forms.Timer**는 UI 스레드에서 실행되므로 UI와의 상호작용이 쉬운 반면, System.Timers.Timer는 그와 반대로 UI와의 상호작용을 할 때 조금 더 복잡합니다.

System.Timers.Timer 사용 시 문제 해결 방법:

System.Timers.Timer를 사용할 때 UI 스레드와의 동기화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Invoke 메서드를 사용하여 UI 스레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시: System.Timers.Timer 사용 시 UI 업데이트

using System;
using System.Timers;
using Systehttp://m.Windows.Forms;

public class MainForm : Form
{
    private Systehttp://m.Timers.Timer timer;  // Systehttp://m.Timers.Timer를 사용할 변수 선언

    public MainForm()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InitializeComponent()
    {
        this.timer = new Systehttp://m.Timers.Timer(); // Systehttp://m.Timers.Timer 객체 초기화
        this.SuspendLayout();

        // 타이머 설정
        this.timer.Interval = 1000;  // 1초 간격 (1000ms)
        this.timer.Elapsed += new ElapsedEventHandler(Timer_Elapsed);  // Elapsed 이벤트 핸들러 설정
        this.timer.Start();  // 타이머 시작

        // 폼 설정
        this.ClientSize = new Systehttp://m.Drawing.Size(800, 450);
        this.Name = "MainForm";
        this.Text = "Systehttp://m.Timers.Timer Example";
        this.ResumeLayout(false);
    }

    private void Timer_Elapsed(object sender, ElapsedEventArgs e)
    {
        // 타이머가 Elapsed 할 때마다 호출됩니다.
        // UI 요소를 업데이트하려면 Invoke로 UI 스레드에서 실행
        if (this.InvokeRequired)
        {
            this.Invoke(new Action(() => 
            {
                // 여기서 UI 업데이트
                this.Text = "타이머 이벤트 발생";
            }));
        }
        else
        {
            // UI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직접 수행할 수 있음
            this.Text = "타이머 이벤트 발생";
        }
    }

    [STAThread]
    static void Main()
    {
        Application.EnableVisualStyles();
        Application.SetCompatibleTextRenderingDefault(false);
        Application.Run(new MainForm());
    }
}
 

설명:

  • System.Timers.Timer는 백그라운드 스레드에서 동작하므로, Timer_Elapsed 이벤트 핸들러 내에서 UI 업데이트를 하려면 InvokeRequired를 통해 UI 스레드에서 작업이 필요한지 확인한 후 Invoke 메서드를 사용하여 UI 스레드에서 실행합니다.
  • 이렇게 하면 UI 요소가 백그라운드 스레드에서 안전하게 업데이트됩니다.

결론:

System.Timers.Timer는 기본적으로 백그라운드 스레드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UI와 상호작용하려면 스레드 동기화가 필요합니다. System.Windows.Forms.Timer는 UI 스레드에서 실행되므로 Windows Forms 애플리케이션에서는 UI와 상호작용이 훨씬 더 간편합니다. UI 스레드에서 타이머 이벤트를 처리하고 싶다면 System.Windows.Forms.Timer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