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 매칭, 매매정보"**는 거래소 시스템 내에서의 데이터 흐름 또는 기능적 순서를 잘 설명하는 키워드들인데요, 각각의 의미와 함께 실제 발생 순서에 맞춰 설명해볼게요.
✅ 1. 채널 (Channel)
📡 데이터가 오가는 경로 또는 통신선로
- 거래소와 증권사(또는 내부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전송 통로입니다.
- 실시간 시세, 주문 요청, 체결 통보 등 모든 메시지는 채널을 통해 오갑니다.
- 하나의 물리적 채널에 여러 논리 채널이 포함되어 데이터를 분류합니다.
2. 논리적 채널 (Logical Channel)- 하나의 물리적 회선 내에서 구분된 데이터 흐름의 단위
- 실시간 데이터의 유형별로 채널을 나눔
(예: 체결 정보, 호가 정보, 지수 정보 등 각각 채널로 나눔)
예시:
100번 채널 | 코스피 체결 정보 |
101번 채널 | 코스닥 체결 정보 |
110번 채널 | 지수 정보 |
120번 채널 | 호가 정보 |
1. 물리적 채널 (Physical Channel)- 거래소와 증권사 간에 구성된 전용 회선 또는 네트워크 연결을 말함
- 주로 전용망, VPN, MPLS 회선 등으로 구성
- FEP 시스템이나 RDS 송수신 시스템이 이 물리적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
- 채널 1: 실시간 시세(RDS) 송출용
- 채널 2: 주문/체결 요청 전송용 (OEP, EFP 등)
🔹 위치상 순서:
데이터가 흘러가는 "통로"이므로 항상 처음에 존재함.
✅ 2. 매칭 (Matching)
⚖️ 주문과 주문이 만나서 체결되는 과정
- 투자자가 주문(매수/매도)을 넣으면, 거래소의 **매칭 엔진(Matching Engine)**에서 이를 처리합니다.
- 가격/시간 우선 원칙에 따라 상대 주문과 자동으로 매칭됩니다.
- 매칭이 되면 체결이 발생하고, 그 결과가 다음 단계로 넘어감.
🔹 위치상 순서:
채널을 통해 주문이 들어온 뒤, 두 번째 단계에서 처리됨.
✅ 3. 매매정보 (Trade Information)
📊 매칭 결과로 생성된 체결 정보
- 어떤 종목이 얼마에, 몇 주가, 언제 체결되었는지를 담은 정보입니다.
- 이 정보는 거래소의 RDS 시스템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외부로 송출됩니다.
- 또한 거래소 내부 시스템이나 정산 시스템에도 기록됩니다.
🔹 위치상 순서:
매칭이 완료된 뒤, 마지막 단계에서 생성/송출됨.
📌 전체 순서 요약
[1] 채널: 데이터가 흐르는 통로 ↓ [2] 매칭: 주문이 만나서 체결됨 ↓ [3] 매매정보: 체결 결과가 실시간 전송됨 |
🎯 예시 흐름
1. 채널을 통해 주문 도착 | 증권사에서 거래소로 매수 주문 전송 |
2. 매칭 엔진에서 주문 매칭 | 기존 매도 주문과 가격이 일치하여 체결 |
3. 매매정보 생성 및 전송 | 체결 시각, 수량, 가격 정보가 채널을 통해 다시 전송됨 |
'증권정보 >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 증권데이타 수신및 송신(물과 보일러에 비유) (0) | 2024.06.04 |
---|---|
접속표준서(TCP) 공통정보(송신채널_정보구분) (0) | 2024.06.02 |
증권정보페이지.구성.기획.레이아웃 (0) | 2023.03.10 |
stock.suksu.kr (0) | 2021.05.28 |
원장관리 <->채널->매칭->매매지원->정보분배 (0) | 2021.05.04 |